네트워크 2

HTTP 헤더 간단 정리

오늘의 주제는 바로 바로 HTTP 헤더입니다!! 먼저 그 전에 HTTP에 대해서 간단히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HTTP는 Hyper 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죠.프로토콜!! 규약입니다. 무슨 규약이냐면~~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 받을 때의 통신 규약(즉 프로토콜)입니다. 이 규약에 맞게 클라이언트는 서버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는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을 줍니다. http 요청 프로토콜과 응답 프로토콜을 잠시 보겠습니다. http 요청 프로토콜은 요청하는 방식을 정의하고, 클라이언트의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첫번째 줄은 request line으로 무슨 메서드인지(get, post등), url이 어딘지, 프로토콜 버전은 몇인지가 들어갑니다. 그 다음은 헤더인데, 이게 오늘 다룰 것이죠. 그..

CS 📚 2022.04.15

많이 들어 본 Proxy

프록시.. 어디에서 많이 들어봤는데 뭔지 몰라서 궁금했습니다..ㅎㅎ 그래서 스터디에서 주제로 잡아서 발표했어요~ Proxy 프록시가 뭘까요? 영어 사전에 검색해보면 '대리, 대리인, 대용물'이라고 나옵니다. (네이버 영어 사전) 대리는 '대리 운전'할 때 '대리'이죠. 남을 대신해서 어떤 일을 해주는 것을 말합니다. 프록시는 다양한 곳에서 쓰입니다. 스프링의 프록시 패턴, 네트워크의 프록시 등이 있는데, 이 글에서는 네트워크의 프록시를 다룹니다. 참고로 스프링의 프록시 패턴이란, 프록시 객체가 원래 객체를 감싸서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처리하게 하는 패턴이라고 합니다. 이 블로그를 참고했습니다. 여기에서도 '프록시 객체'는 원래 객체를 대신해서 일을 ..

CS 📚 2022.03.24
728x90